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가 월세 인상 계산해보기 5% 증액 제한 환산보증금

by 온라인 집짓기 2023. 8. 29.
반응형

상가 건물 임대차 계약을 갖게 되면, 재계약이 다가올 때 상가 월세 인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집니다. 특히 자영업자 사장님들에게 월세는 중요한 이슈입니다. 임대료 동결은 이해가 가지만 구현은 어렵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상가 월세 인상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글에서는 상가 월세 인상에 대한 계산 방법과 관련 정보를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상가 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월세 인상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상가 월세 인상률은 최대 5%로, 이를 초과해서 인상할 수 없습니다. 다만, 환산보증금 이내 임대차 계약에서만 해당 규정이 적용되며, 지역별로 환산보증금이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가임대차보호법의 환산보증금 정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증금 및 임대료 각각 5%씩 인상 가능.

임대인은 계약 기간과 관계없이 1년마다 월차임을 인상할 수 있음 임차인은 계약 갱신 요구권을 10년 동안 보유하지만, 임대인은 5% 한도 내에서 1년마다 임대료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월세 인상에는 두 가지 주요 계산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보증금과 임대료를 각각 인상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1천만 원과 월세 100만 원인 상가의 경우, 각각 5%씩 인상하면 보증금은 1050만 원, 월세는 105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이 방법은 보증금 추가 지불이 필요해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보증금 인상을 임대료로 환산하는 것입니다.

보증금의 일부를 월차임으로 전환할 때 다음 중 낮은 비율을 적용합니다.

 

1.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비율 (전월세 전환율, 12%)

 

2. 기준금리에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배수를 곱한 비율 (기준금리 × 4.5배) 예를 들어, 보증금 1천만 원 × 5% = 50만 원, 이를 12% 비율로 환산하면 60만 원이며, 이를 12개월로 나누면 5만 원입니다. 이 금액을 임대료 인상에 추가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상가 월세 인상은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물론 무조건 인상을 요구할 수는 없지만, 어려운 경기 환경에서 서로 원만한 협의를 통해 재계약을 협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글로 돌아오겠습니다 머니프리!

반응형